src="//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지광모선생' 태그의 글 목록 :: 조은사람[지광모] 좋은문제 function getKey(keyStroke) { if ((event.srcElement.tagName != 'INPUT') && (event.srcElement.tagName != 'TEXTAREA')){ isNetscape=(document.layers); eventChooser = (isNetscape) ? keyStroke.which : event.keyCode; which = String.fromCharCode(eventChooser).toLowerCase(); for (var i in key) if (which == i) window.location = key[i]; } } document.onkeypress = getKey;
728x90
반응형
SMALL

 

지난 2년간 실시된 모의고사(고1, 고2) 문장 삽입 문항(38, 39번)에 출제된 연결사를 살펴봤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사진의 왼쪽이 고1, 오른쪽이 고2에 출제된 연결사(역접, 대조) 분포입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고1에 출제된 대조 연결사는 on the other hand(2회), by comparison, in contrast이고,

고2에 출제된 대조 연결사는 But on the other hand, however(3회), yet, for others 입니다.

 

고1과 고2에 출제된 대조 연결사가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1에 출제된 대조 연결사들은 말 그대로 '대조' 관계에만 사용되는 연결사들입니다(on the other hand, by contrast, in contrast). 반면에 고2에 출제된 '대조' 연결사들에는 however가 3회 사용되었습니다. 고1에서 however는 '역접'으로만 2회 출제되었습니다. however는 '역접'과 '대조'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내릴 수 있는 결론 한 가지는 고1에서 습득해야 할 연결사와 고2에서 습득해야 할 연결사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출제자들의 의도라는 의미입니다. 출제자들의 평가 요소는 학년별로 학습해야 하는 연결사 종류가 다르니, 학생들이 제대로 학습했는지를 묻겠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제 개인적 판단입니다.

 

한 가지 용도로만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쉬운 연결사(대조)는 고1때, 좀 더 어려운 연결사(but, however)는 고2때 평가하겠다는 겁니다. 그러므로 고1과 고2 모의고사 연습시킬 때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yet도 고1에서는 '역접', 고2에서는 '대조'로 출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2에 출제된 But on the other hand도 주의할만 합니다. But과 on the other hand가 동시에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대조'를 나타내기 위해 '전치사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고2에서 For others가 딱 한 번 출제되었습니다.

 

But은 '역접'과 '대조' 연결사로 작동합니다만, 한 가지 더 '추가'로서도 기능을 하는데 다행인 것은 also를 동반했다는 점입니다. But의 기능에 대해서도 꾸준히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역접'과 '대조'에 사용되는 연결사는

but, however, yet 이렇게 세 개입니다.

 

'대조'로만 사용되는 연결사는

on the other hand, by contrast, in contrast입니다.

 

but은 'also'와 함께 '추가'의 기능도 합니다.

 

고1에서는 단순하게 평가했다면, 고2에서는 난이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학교 내신 시험지를 분석하실 때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위와 같은 연결사가 출제된 경우에도 단순히 '연결사'라고만 분류를 하면 학생들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구체적으로 분류해서 출제자가 무엇을 묻고자 하는지를 파악해야 다음 시험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연결사'로만 카테고리를 분류해 놓으면 의미있는 분석을 할 수 없습니다. 기출 시험지를 분석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문법 유형을 분석할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경우에는 문법의 어떤 카테고리인지까지 분석을 합니다. 정동사/준동사를 묻는지, what/that을 묻는지, Ving/pp를 묻는지 분석한 다음에는 출제자가 이 가운데서도 특히 자주 출제하는 부분은 뭔지도 파악해서 여러분 학원만의 비문(비밀문서)을 만들어야 합니다.

 

학부모님 상담하실 때

"K고등학교 1학년 영어선생님인 '조은사람'은 독해 평가에서 '대조'와 '역접'을 묻는 연결사를 자주 출제하는 편입니다. 이번에도 그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습시켜 모두 적중했습니다. 이 선생님은 문법의 경우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사용을 자주 묻는데, 그 부분도 역시 아이들에게 연습시켜서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저희는 지난 5년간 '조은사람' 선생님의 출제 경향을 분석해서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그 선생님의 출제 경향에 맞게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습니다. (...)"라고 말씀해 주시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험이 끝난 시점부터가 진짜입니다. 내가 중점적으로 가르쳤던 부분, 내가 예상했던 부분과 학교 선생님이 출제했던 부분을 비교해 보고 다음 시험을 위해 데이터를 확보해 놓는 일. 이것보다 중요한 일은 없습니다. 시험 끝나고 시험지 받아서 복사해 놓고 끝내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습니다만, 자, 다시 길게 호흡 한 번 하시고 앞으로 1주일 동안 시험지 분석하신 다음에 쉬시길 바랍니다. 여기까지가 시험대비입니다. 그렇지 않고 시험지 내버려두면 나중에 1학기 중간고사 대비할 때 '처음부터' 다시 하는 느낌을 지울 수 없을겁니다.

 

화이팅!!!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고2, '24학년도 10월 36번 문항으로서, 오답률 3위(75.7%)를 기록했습니다.

연결사 작동방식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오답률이 높은 이유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인과' 연결사의 작동 방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PDF 파일과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2_'24-10월.pdf
0.09MB

 

https://youtu.be/seFjHyUN_jY?si=mJVeHaEJqipIn_51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모의고사에서 어휘 문항은 두 문제(30번과 42번) 출제됩니다.

고2, 10월 42번에 출제된 밑줄 어휘는 다음과 같습니다.

(a)accumulate, (b)variance, (c)accelerating, (d)guarantee, (e)inherited

(b)의 variance가 어려워 보일수 있지만, vary를 안다면 충분히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휘 문항의 출제의도는 '어휘를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지'를 묻는 것이 아니라, '어휘가 문맥속에서 적절히 쓰였는지'를 묻습니다. 그리고 각 문장의 어휘는 앞 뒤 문장의 '연결사'와 '지시어'를 통해 거미줄처럼 얽혀 있습니다. 역시나 핵심은 '연결사'와 '지시어'입니다. 연결사와 지시어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 요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보시기 바랍니다.

 

 

 

고2_'24-10월.pdf
0.10MB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지광모 선생입니다.

고2, '24학년도 10월 33번 문항(오답률 2위 77.5%)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오답률이 이 정도면 1등급도 찍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어려운 지문 유형이지만 반드시 정복해야 하는 지문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하는 유형입니다.

한 가족이 있습니다. 아들은 엄마의 눈을 닮았고, 딸은 아빠의 코를 닮았습니다. 아들의 눈과 딸의 눈은 닮은 점이 없습니다. 아들의 코와 딸의 코도 닮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전체적으로 보면 분명 한 가족이라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이 모두 똑 같이 닮은 부분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교차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가족 유사성) 가족임을 알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축구, 야구, 농구는 모두 다른 규칙과 특성을 갖고 있지만 모두 ‘경기’라는 유사한 개념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지나친 분류와 경계를 구분 짓는 일 때문에 무시될 수 있는 다양한 특성과 애매한 속성에 대한 통찰을 얻을 것을 주장하는 개념이 바로 비트겐슈타인의 ‘가족 유사성’입니다.

고2, '24학년도 10월 33번은 비트겐슈타인의 ‘가족 유사성’ 개념을 읽기에 적용한 지문입니다.

‘읽기’와 ‘읽기가 아닌 것’ 사이의 경계를 짓는 일은 하나의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는 일입니다. 그런데 이 기준에서 벗어나는 ‘특이 사례’들이 많이 있고, 결과적으로 읽기의 기준이 넓어지게 됩니다.

‘예외적인 읽기’의 형태들을 ‘하나의 토론의 장(읽기)’으로 모으려는 시도는 가치있는 일이지만 결론을 내리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결국 ‘별개의 읽기 활동’을 다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광범위한 스펙트럼으로서 읽기’를 이해해야만 합니다.

정답 선택지 '함께 속하게 되는'과 '느슨하게 연결된 행동의 묶음'이 대립쌍 관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녹색 음영은 '한 가족'을, 약한 빨간색 음영은 '다르게 생긴 점'을 나타냅니다. 음영 색깔과 같은 색끼리 묶으면 두 개의 대립쌍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항대립'이나 '정반'이라는 용어로 설명하는 강사들도 있습니다. 같은 말입니다.

오답률이 높은 글들은 이와같이 '대립쌍'을 이용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꾸준히 학생들에게 연습시켜야 합니다.

학생들이 오답으로 선택한 선택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① an active process that encourages flexible thinking(26.7%)

'유연한 사고를 장려하는 적극적 과정'

유연한 사고를 장려한다는 내용도, 독서가 '적극적인 과정'이라는 내용도 본문에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본문의 단어 'flexible'을 보고 찍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④ a collection of activities in which many other opinions interact(27.3%)

'많은 다른 의견이 상호작용하는 활동의 집합체'

33번 문항과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33.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Some people argue that there is a single, logically consistent concept known as reading that can be neatly set apart from everything else people do with books. Is reading really that simple? The most productive way to think about reading is a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wing to family resemblances, as Ludwig Wittgenstein used the phrase, without having in common a single defining trait. Consequently, efforts to distinguish reading from nonreading are destined to fail because there is no agreement on what qualifies as reading in the first place. The more one tries to figure out where the border lies between reading and not-reading, the more edge cases will be found to stretch the term’s flexible boundaries. Thus, it is worth attempting to collect together these exceptional forms of reading into a single forum, one highlighting the challenges faced by anyone wishing to establish the boundaries where reading begins and ends. The attempt moves toward an understanding of reading as a spectrum that is expansive enough to accommodate the distinct reading activities.[3점]

① an active process that encourages flexible thinking

a loosely related set of behaviors that belong together

③ an acquired skill and not something that one is born with

④ a collection of activities in which many other opinions interact

⑤ a safe territory to relieve a sense of separation from the world

[해석] 몇몇 사람들은 사람들이 책을 가지고 하는 모든 다른 행동들로부터 깔끔하게 분리될 수 있는, 읽기로 알려진 유일하고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는 개념이 있다고 주장한다. 읽기는 정말로 그렇게 단순할 까? 읽기에 대해 생각하는 가장 생산적인 방식은 하나의 명백한 특성을 공통적으로 가지지 않은 채 Ludwig Wittgenstein이 그 어구를 사용한 것처럼 가족 유사성 때문에 함께 속하게 되는 헐겁게 연결된 행동의 묶음으로서이다. 결론적으로, 읽기와 읽기가 아닌 것을 구분하려는 노력은 실패로 돌아가는데, 왜냐하면 애초에 무엇이 읽기로서의 자격을 주는가에 대한 동의가 없기 때문이다.읽기와 읽기가 아닌것 사이의 경계가 어디에 있는가를 알려고 하면 할수록, 더욱 많은 특이 사례들이 그 용어의 유연한 경계를 확장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질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예외적인 읽기의 형태들을 모두 함께 하나의 토론의 장으로 모으려는 시도는 해 볼 가치가 있으며,그 토론의 장은 어디서 읽기가 시작되고 끝나는가에 대한 경계를 정하기를 원하는 누구나에 의해 마주하게 될 어려움들을 돋보이게 한다. 그러한 시도는 별개의 읽기 활동들을 다 수용할 만큼 충분히광범위한 스펙트럼으로서 읽기를 이해하는 것으로 발전한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다음은 고1 모의고사 ’24-03-33번 빈칸추론 문항입니다.

One of the most striking characteristics of a sleeping animal or person is that they do not respond normally to environmental stimuli. If you open the eyelids of a sleeping mammal the eyes will not see normally―they are functionally blind. Some visual information apparently gets in, but it is not normally processed as it is shortened or weakened; same with the other sensing systems. Stimuli are registered but not processed normally and they fail to wake the individual. Perceptual disengagement probably serves the function of protecting sleep, so some authors do not count it as part of the definition of sleep itself. But as sleep would be impossible without it, it seems essential to its definition. Nevertheless, many animals (including humans) use the intermediate state of drowsiness to derive some benefits of sleep without total perceptual disengagement. [3점]

* stimuli: 자극 ** disengagement: 이탈

***drowsiness: 졸음

설명하고자 하는 부분은 첫 문장의 노란색 음영입니다. 선행사가 단수(a sleeping animal or person)임에도 대명사는 복수 they를 사용했습니다.

One of the most striking characteristics of a sleeping animal or person is that they do not respond normally to environmental stimuli.

이처럼 they를 단수대명사로 사용하는 용법을 singular they라고 합니다. 이는 최근 용법이 아니라 1375년경부터 사용되어 온 것으로 남녀를 모두 포괄하기 위해 또는 중성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페미니즘의 성장으로 인해 최근에 생겨난 용법으로 오해할 수도 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고맙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영문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형식 -> 3형식 전환시 전치사 of  (8) 2024.09.22
4형식 -> 3형식 전환할 때 전치사 to와 for  (0) 2024.09.22
관사와 명사  (5) 2024.09.02
관사와 명사  (4) 2024.09.01
능동태 수동태와 비판적 담화분석  (0) 2022.08.31
728x90
반응형
SMALL

 

 

21.밑줄 친 The divorce of the hands from the head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If we adopt technology, we need to pay its costs. Thousands of traditional livelihoods have been pushed aside by progress, and the lifestyles around those jobs removed. Hundreds of millions of humans today work at jobs they hate, producing things they have no love for. Sometimes these jobs cause physical pain, disability, or chronic disease. Technology creates many new jobs that are certainly dangerous. At the same time, mass education and media train humans to avoid low­tech physical work, to seek jobs working in the digital world. The divorce of the hands from the head puts a stress on the human mind. Indeed, the sedentary nature of the best­paying jobs is a health risk ─for body and mind.

 

① ignorance of modern technology(12.2%)

② endless competition in the labor market(5.1%)

③ not getting along well with our coworkers(6.3%)

④ working without any realistic goals for our career(24.3%)

⑤ our increasing use of high technology in the workplace(52.1%)

 

[해석]

만약 우리가 기술을 받아들이면, 우리는 그것의 비용을 치러야 한다. 수천 개의 전통적인 생계 수단이 발전에 의해 밀려났으며, 그 직업과 관련된 생활 방식이 없어졌다. 오늘날 수억 명의 사람들이 자기가 싫어하는 일자리에서 일하면서, 자신이 아무런 애정을 느끼지 못하는 것들을 생산한다. 때때로 이러한 일자리는 육체적 고통, 장애 또는 만성 질환을 유발한다. 기술은 확실히 위험한 많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다. 동시에, 대중 교육과 대중 매체는 낮은 기술의 육체노동을 피하고 디지털 세계에서 일하는 직업을 찾도록 인간을 훈련시킨다. 머리로부터 손이 단절되는 것은 인간의 정신에 부담을 준다. 실제로, 가장 보수가 좋은 직업의 주로 앉아서 하는 특성은 신체와 정신에 건강 위험 요소이다.

 

https://youtu.be/r-hW3aoquVo

 

고1_23-03-21_복습_정답.pdf
0.09MB
고1_23-03-21_복습.pdf
0.08MB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It is difficult for any of us to maintain a constant level of attention throughout our working day. We all have body rhythms characterised by peaks and valleys of energy and alertness. You will achieve more, and feel confident as a benefit, if you schedule your most demanding tasks at times when you are best able to cope with them. If you haven’t thought about energy peaks before, take a few days to observe yourself. Try to note the times when you are at your best. We are all different. For some, the peak will come first thing in the morning, but for others it may take a while to warm up.

 

① 부정적인 감정에 에너지를 낭비하지 말라. 

② 자신의 신체 능력에 맞게 운동량을 조절하라. 

③ 자기 성찰을 위한 아침 명상 시간을 확보하라. 

④ 생산적인 하루를 보내려면 일을 균등하게 배분하라. 

⑤ 자신의 에너지가 가장 높은 시간을 파악하여 활용하라.

 

[해석]

우리 중 누구라도 근무일 내내 일정한 수준의 주의 집중을 유지하기는 어렵다. 우리 모두 에너지와 기민함의 정점과 저점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리듬을 가지고 있다. 가장 힘든 작업을 그것을 가장 잘 처리할 수 있는 시간에 하도록 계획을 잡으면, 더 많은 것을 이루고 이익으로 자신감을 느낄 것이다. 만약 전에 에너지 정점에 관해 생각해 본 적이 없다면, 며칠 동안 자신을 관찰하라. 자신이 가장 좋은 상태일 때를 알아차리도록 노력하라. 우리는 모두 다르다. 어떤 사람에게는 정점이 아침에 제일 먼저 오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준비되는 데 얼마간의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https://youtu.be/OHin70riHBw

 

고1_23-03-20_복습_정답.pdf
0.08MB
고1_23-03-20_복습.pdf
0.08MB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고2_23-09월_좌분문-우해석.hwp
0.14MB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고1_23-09월_좌분문-우해석.hwp
0.15MB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고1_23-09_문제지.pdf
0.38MB
고1_23-09월_해설지.pdf
0.32MB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