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c="//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구문과 단락' 카테고리의 글 목록 :: 조은사람[지광모] 좋은문제 function getKey(keyStroke) { if ((event.srcElement.tagName != 'INPUT') && (event.srcElement.tagName != 'TEXTAREA')){ isNetscape=(document.layers); eventChooser = (isNetscape) ? keyStroke.which : event.keyCode; which = String.fromCharCode(eventChooser).toLowerCase(); for (var i in key) if (which == i) window.location = key[i]; } } document.onkeypress = getKey;
728x90
반응형
SMALL

 

다음은 어제 설명드렸던 고1, '23학년도 3월 34번 지문입니다. 이 지문에서 문장8에 사용된 문미 초점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1Everything in the world around us was finished in the mind of its creator before it was started. 2The houses we live in, the cars we drive, and our clothing―all of these began with an idea. 3Each idea was then studied, refined and perfected before the first nail was driven or the first piece of cloth was cut. 4Long before the idea was turned into a physical reality, the mind had clearly pictured the finished product. 5The human being designs his or her own future through much the same process. 6We begin with an idea about how the future will be. 7Over a period of time we refine and perfect the vision. 8Before long, our every thought, decision and activity are all working in harmony to bring into existence what we have mentally concluded about the future.

그리고 이 지문에 작가가 공들여 설계한 문장들을 한 번 찾아보라고 했을 때, 홍경 원장님이 '옷과 집. 못과 재단'이라고 답변을 해 주셨습니다. 네, 맞습니다. 지문을 아주 잘 살펴 주셨습니다.

그 문장에 대해 한 가지 보충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2The houses we live in, the cars we drive, and our clothing―all of these began with an idea.

대시(―)이하는 새로 구성한 문장이니, 대시 앞 부분 문장을 분석해 보면 동사가 없는 문장입니다.

'명사+수식어, 명사+수식어, and 명사구' 형태로 구성된 문장입니다. 그렇지만 이 문장에는 흔히 말하는 정동사가 없습니다. 명사구 뒤의 관계사절을 생략하면, 'The houses, the cars, and our clothing'가 됩니다. 수식어 없이 이렇게 구성했더라면 좀 더 강력한 문장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동사'는 '어떤 일을 하는 말'이라는 뜻입니다. 그와 반대 방향에 있는 '명사'는 의미도 반대가 될 것입니다. 동사는 시제를 포함하지만, 명사에는 시제가 없습니다. 시제가 없으므로 명사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모두 포괄합니다. 동사는 시간의 제약을 받는 거구요.

The houses 다음의 관계사절의 시제도 현재(live)이고, the cars를 수식하는 관계사절의 시제도 현재(drive)입니다. 영어의 '현재' 시제는 시간을 초월하는 시제입니다. '어제도 우리가 살았고, 지금도 우리가 살고 있고, 앞으로도 우리가 살 집'이 바로 The houses we live in이고, we live in을 생략해서 The houses라고만 써도 같은 의미가 됩니다.

이 문장 앞 뒤의 시제가 모두 '과거(was finished, was started, was studied, was turned)'인데, 이 문장만 '현재' 시제를 사용했다는 것은 현재 시제의 '영원성'을 이야기 해 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명사구 다음에 관계대명사를 사용하거나, 생략하거나 의미하는 바는 같다고 분석해도 될 것 같습니다.

작가는 어떤 단어를 어떻게 배치해야할지에 대한 생각을 갖고 글을 씁니다. 무작정 쓰는 작가는 거의 없을 겁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일거구요. 글을 쓰는 과정에서 단어의 배치, 문법의 사용 및 기능도 글의 전개를 위한 장치가 되는 겁니다. 왜 하필이면 이 문장은 '동사 없는 문장'으로 구성했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 공부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혹시나 하고 시중의 유료 분석지를 살펴봤더니 역시나 이런 부분에 대해 설명이 없었고, 혹시나 하고 EBS 해설 강의를 봐도 이런 설명이 없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AI가 발달하여 어지간한 문장들은 모두 해석을 해 주는 시대입니다. 그렇지만 그 AI도 하지 못하는 부분들이 분명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 인간들이 위대하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AI가 발달할수록 인간의 위대함이 더 분명해 진다는 것을 요즘 많이 느끼는 중입니다. 그래서 더 즐겁습니다.

오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구문과 단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문과 단락_구문과 빈칸추론_not A so much as B  (0) 2021.06.28
728x90
반응형
SMALL

1. not A so much as B ; A라기 보다는 B[B강조]

2. 유사 강조 구문

 

오늘은 위의 구문들을 통해, 빈칸추론을 해결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지문은 18학년도 대비 9월 모의평가 31번 지문입니다.

[18학년도 대비 9월 모의평가 31번]

3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One unspoken truth about creativity ― it isn’t about wild talent so much as it is about __________. To find a few ideas that work, you need to try a lot that don’t. It’s a pure numbers game. Geniuses don’t necessarily have a higher success rate than other creators; they simply do more ― and they do a range of different things. They have more successes and more failures. That goes for teams and companies too. It’s impossible to generate a lot of good ideas without also generating a lot of bad ideas. The thing about creativity is that at the outset, you can’t tell which ideas will succeed and which will fail. So the only thing you can do is try to fail faster so that you can move onto the next idea.

① sensitivity

② superiority

③ imagination

④ productivity

⑤ achievement

 

not A so much as B ; A라기 보다는 B

One unspoken truth about creativity ― it isn’t​ about wild talent so much as it is about __________.

위 구문에서 강조 대상은 B입니다.

작가는 강조하고자 하는 바를 not A so much as B 구문을 통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당연히 빈칸은 A가 아닌 B에 있는 것이어야겠습니다.

A가 아니라고 했는데, A에 빈칸을 둔 경우는 없겠죠.

빈칸이 있는 문장1에서 ‘창의성에 관해 알려지지 않은 한 가지 사실은,

창의성이 특이한 재능에 관한 것이라기보다는 _____ 관한 것이라는 점’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It’s a pure numbers game.Geniuses don’t necessarily have a higher success rate than other creators; they simply do more ― and they do a range of different things. They have more successes and more failures. That goes for teams and companies too. It’s impossible to generate a lot of good ideas without also generating a lot of bad ideas.

보음영이 있는 문장 ➍의 ‘그들은 단지 더 많이 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것들을 한다’, 문장 ➎의 ‘천재들은 더 많은 성공과 더 많은 실패를 하며,’ 문장 ➐의 ‘많은 나쁜 아이디어를 만들지 않고서 많은 좋은 아이디어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모두 재진술 관계에 있습니다.

결국 모두 같은 말들을 하고 있는 것이죠. 이 재진술 관계에 있는 말들을 한 단어로 요약하면 빈칸에 들어갈 한 단어가 되는 것입니다.

So the only thing you can do is try to fail faster so that you can move onto the next idea.

작가는 너무나 많은 빈칸에 대한 힌트들을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마지막 문장에서 다시 한 번 유사 강조구문을 통해 주제를 부각시켜주고 있습니다.

이 문장에 사용된 the only thing you can do 역시 ‘유사 강조구문’입니다.

전에 말씀드렸던 All you can do, What you have to do와 비슷한 구조입니다.

‘네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다른 말로, ‘너는 이것만 하면 돼’와 같은 말이죠.

다른 것 말고, ‘이것만 하면 돼’는 것입니다.

평서문으로 쓰면, you try to fail faster ~가 될 것이고,

좀 더 강조하려 한다면 you must try to fail faster ~의 형태로 쓸 수 있겠습니다만,

작가는 the only thing you can do is라는 강조 장치를 사용한 것입니다.

‘더 빨리 실패를 해서 다음 아이디어로 나아가라고’ 합니다.

실패해서, 또 시도해 보고, 또 실패하면 또 시도해 보고, 뭐 그런 말인거죠.

따라서 정답은 ④ ‘생산성 productivity’입니다.

구문학습의 최종 목적은 독해력이라고 반복해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not so much A as B가 의미하는 것과 강조구문을 학습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들은,

이런 구문들이 단락에서 하는 역할입니다.

오늘도 지루한 이야기 들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전문해석]

창의성에 관해 알려지지 않은 사실 중 하나는, 그것이 아주 특이한 재능에 관한 것이라기보다는 생산성에 관한 것이라는 점이다. 쓸모 있는 몇몇 아이디어를 발견하기 위해서 여러분은 그렇지 못한 많은 것들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순전히 숫자 게임이다. 천재들이 반드시 다른 창조자들보다 성공률이 더 높은 것이 아니라, 그들은 그저 더 많이 하는 것에 불과하고, 또 여러 가지 다양한 것들을 한다. 그들은 더 많은 성공을 하고 실제로 더 많은 실패를 한다. 그것은 팀과 회사에도 해당된다. 나쁜 아이디어를 많이 만들어내지 않으면서도 좋은 아이디어를 많이 만들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창의성에 관한 중요한 것은, 처음에는 당신이 어떤 아이디어가 성공하고 어떤 아이디어가 실패할 것인지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다음 아이디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더 빨리 실패하려고 하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
LIST

'구문과 단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 없는 문장 - 고1, '23학년도 03월 34번  (0) 2025.03.20

+ Recent posts